막스 베버 ㅡ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벤자민 프랭클린. 베버는 그를 보며 돈벌이 자체가 인생의 목적인 새로운 인간형을 발견했다. 이미 이 인간형의 등장에서 자본주의는 싹트기 시작한 것이 아닐까? 베버는 의문을 풀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자본주의 탄생 이전에 새로운 인간형의 가치나 관념으로 본 베버. 이런 것이 사회학을 공부하는 이유다. 사회사상과 사회학방법론을 배우고 (이런 고전 저작을 포함해) 인문보다 세밀히 연구한 자료 바탕과 분석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해내는 것. 최근 1년 내에 여성주의 이슈가 가장 강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가치의 변화는 어디서 왔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