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7

역사논쟁에 관한 의견충돌에 관해

굳이 말하자면, 저는 둘 다를 이해하고, 또한 저는 그 둘 다에 반대합니다. 제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이것은 '중립' 따위의 말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저는 중립을 지킬 수 없습니다. 제가 둘 다를 이해하고 둘 다에 반대하는 이유는, 둘 다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었으며 인문과 사회를 논하기에는 기본 자격이 불충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인간 세상은 그렇게 단순하게 나뉘지 않습니다. 저는 일본에서 지난 역사에 대해 진상을 파헤치며 운동하는 평화활동가들을 압니다. 저는 일본에서 역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너무나 착한 친구들을 압니다. 국가에 대해서 반대하는 좋은 사람들도, 찬성하는 좋은 사람들도 압니다. 그 반대도 압니다. 또한 한국에서도 민간 단위로 해외협력을 하며 희생하시는 분들을 압..

최근 인테리어를 생각해보며 좋아하게 된 색상

젠스타일에 힘입어 젠스타일에 많이 쓰이는 자연스러운 색상을 선호하게 됐다. 거의 끝판왕으로는 https://www.instagram.com/p/BIKGR_Mh2cr/?taken-by=ofumi_3 후미에 인스타그램. 무채색은 너무 정감없고, 젠스타일은 아늑하고 고급스러우나 싱그럽진 않다.후미에 인스타를 보니까 편안하고 싱그럽고 아름답고 정감있고 매우 심플하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참 잘 쓴다.... 거의 오트밀이나 약간 회색빛도는 아이보리랄까, 톤다운된거. 브라운 베이지 계열도 너무 세련되지 않게 살짝 오트밀같은 느낌을 준다.그리고 꽃병을 보다가 안건데 아날로그파리와 같은 그런 오묘한 색상이나 내가 평소 좋아하는 그런 파스텔톤도 같이 쓰고 있다.여성적인부분도 전부 보완되는 것.그리고 포인트 새파란 그림을 건..

장식품에 관하여 - 꽃병에 생화, 토토로, 디퓨저

오늘 장식품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일단 토토로나 피카츄에 대해 생각했다. 피카츄는 아예 한 마리도 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나의 집에는 토토로만 들여오기.즉 장식품은 토토로만. 대신 열쇠고리도 하나만 하고, 인형은 사지 말고, 변기 현관 책장 정도에만 두자. △ 요렇게 잠시 DP해둘까 했는데, 조잡해서 피카츄 두마리는 동생 방에 갖다놨다. 그냥 토토로만 있으면 돼!지금은 큰 토토로만 있다. 작은 애는 다른 데다 놨다. 그 외에는 가끔 꽃을 사서 꽃병에 넣어두는 것이다!얇고 긴 꽃병 두 개, 꽃다발을 사면 나머지를 담을 수 있는 좀 넓은 꽃병 한 개.디자인은 후미에 인스타그램에 있는 꽃병이 좋겠다.꽃병은 주방 수납장 한 곳에 세 개를 나란히 넣어둘 것이다. ○ 현관 : 기본적으로 꽃들고 있는 토토로. 꽃 ..

파우치 러버

무채색, 오트밀, 젠스타일 컬러, 평소 좋아하는 (예전 좋아하는 컬러 포스팅 참고) 색깔들.... 린넨 파우치를 여전히 좋아한다. 즉, 패브릭을 좋아한다. 주방패브릭도 분명 엄청 좋아할 거다. 일본 다이소에서 샀는데 어쩜 이렇게 마음에 들까. 다음에 가면 더 많이 사와야겠다. 물론 노트이런것도 파우치를 쓰는데 그건 아크릴이나 다른 재질을 많이 사용한다.

애니메이션 - 한국 곡들

레스톨 특수구조대 ED Faith - 너와 함께라면 (슬램덩크) 우린 달려간다 (스피드왕 번개) 내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 한국 곡들이다. 모두 90년대에 아날로그 + 촌스러움이 물씬 느껴지는 곡들이다. 그래서 사랑스러운 곡들.보통 내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 일본 곡들 (에브리리를띵의 그립이나 범프의 세일링데이즈 등)은 훨씬 만화적이고 환상적인 데에 비해 이 한국 곡들은 따뜻하고 현실의 노래들이다.

박찬욱은 정말 그게 될 이야기라고 생각했을까? - 영화 아가씨

최근 박찬욱의 를 보며 느낀 것이 있다. 그는 이 영화에서 젠더문제를 다뤘고, 영화는 그의 과거 영화와 달리 너무도 촌스럽다는 거다. 어찌보면 박찬욱이 남자라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주류 언어만을 쓰는 남성은 비주류의 언어인 여성의 언어를 어려워한다. 그에 비해 여성은 남성-여성의 언어를 전부 구사한다. 여성주의 이론을 강연이나 책으로 접할 때에도 여성들은 술술 읽거나 들으며 술술 이해하는데, 신기하게도 남성들은 그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여성은 어떤 이론이나 학문에 적을 두지 않아도 경험적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많지만 남성들은 그게 없기 때문이다. 요즘은 젠더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이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늘었다. 발화되는 어떤 문제의식들은 여지껏 젠더문제에 관한 고찰이..